전체 글 146

당뇨병성케톤산증(DKA, Diabetic Ketoacidosis) (2)

당뇨병성케톤산증 치료DKA의 치료 목표는 순환 용적과 조직 관류의 회복, 케톤 생성의 중단, 전해질 불균형의 교정 및 고혈당 치료이다. 1.수액1)DKA 환자에서 적절한 수액 공급은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이다.2)DKA 환자에서 추정되는 수분 결핍량은 환자 체중 kg 당 약 100ml/kg 정도이다.3)수액요법은 혈관 내 용적과 신장의 관류를 회복시키고 길항호르몬 농도와 고혈당을 감소시킨다.4)처음 2 ~ 4시간 동안 등장성 식염수를 500 ~ 1000ml 의 속도로 투여하고 그 후에 는 혈청 나트륨 수치나 체액 상태에 따라서 0.9% 등장성 식염수나 0.45% 저장성 식염수를 250~500 mL/h의 속도로 투여한다. 5)혈당이 200~250 mg/dL에 도달하면 케톤증이 조절될 때까지 인슐린을 투..

공부 요약 2025.03.16

당뇨병성케톤산증(DKA, Diabetic Ketoacidosis) (1)

당뇨병성 케톤산증 발생 기전 1. 인슐린 결핍 또는 저항 증가1)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주로 제 1형 당뇨병에서 흔히 발생하지만, 심한 스트레스, 감염, 외상, 심한 탈수로 인해 제 2형 당뇨병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2)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인슐린 결핍이 존재하며,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포도당 대사가 원활하지 않다.3)길항호르몬(카테콜라민, 코르티솔, 글루카곤, 성장호르몬) 증가로도 발생한다. 2.간에서 포도당 생성 증가1)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포도당이 세포 내로 이동하지 못한다.2)혈중 포도당 농도가 상승하지만, 세포는 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 못해 세포 기아 상태에 빠진다.3)이에 따라 글루카곤이 증가하고, 간에서 당신생과 당분해가 활발해져 혈당이 더욱 상승한다. 3.지방 분해 증가 - > 케톤체..

공부 요약 2025.03.15

치료적 금식과 관련된 영양부족위험성 (위장관출혈)

주관적자료1." 밥을 못 먹으니 힘이 빠지고 기운이 없어요." 2. "입이 마르고 갈증이 심하게 느껴져요." 3. "속이 쓰리거나 아픈 건 없지만, 계속 배가 고파요." 4. "며칠째 아무것도 못 먹으니 몸이 축 처지고 어지러운 느낌이에요." 5. "병원 오기 전에도 식사량이 줄어서 체력이 떨어진 것 같았어요."객관적자료1. Dx: GI Bleeding, Gastric Ulcer 2. 대상자 소화성 궤양의 출혈로 검은 변(Melena) 여러 차례 본 후 어지럼증 등의 증상으로 입원하여 NPO 중임.3. 대상자의 피부가 전반적으로 거칠고 푸석해 보임. 4. 최근 5일 동안 1.2kg의 체중감소 있었음5. 혈액검사상 알부민(Albumin) 수치 2.8g/dL로 저하된 상태임6. 헤모글로빈(Hb) 9.8g/d..

Cerebral Fat Embolism (CFE, 뇌 지방색전증) 공부

Cerebral Fat Embolism (CFE, 뇌 지방색전증)은 Fat Embolism Syndrome (FES, 지방 색전 증후군)의 심각한 형태로, 지방색전이 뇌혈관을 막아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장골 골절(특히 대퇴골 및 골반골), 외상, 정형외과 수술 후 발생하며, 드물게 비외상성 원인(췌장염, 지방흡입, 골수이식 등)도 있습니다.1.병태생리기계적 이론과 생화학적 이론 두가지로 설명됨. 1)기계적 이론 - 지방색전이 물리적으로 혈관을 막아 증상을 유발한다는 개념주요과정㉮골절 또는 외상 발생 - > 골수 지방 방출· 장골 골절 시, 골수 내 지방 성분이 혈관 내로 유입됨. · 정형외과 수술도 지방색전의 원인이 될 수 있음. ㉯폐 모세혈관 차단 · 지방 방울(Fat globul..

공부 요약 2025.03.10

CRRT Mode - 2편

CRRT의 주요 Mode1.SCUF(Slow continuous Ultrafiltration)-지속적 초여과-투석액이나 보충액을 사용하지 않고 필터를 통해 대류 기전(Convection)으로 혈액 내 수분만 제거함.-체액 과다 상태, 부종, 심부전 등으로 인한 체액 경감시키기 위해 사용-체액 제거가 천천히 이루어지므로 혈역학적 불안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2.CVVH(Continuous Venovenous Hemofiltration)-지속적 정정맥 혈액여과-혈액 내 용질을 제거할 때, 혈액과 초여과 사이에 압력차 (TMP : 여과압)를 만들어 대류 기전으로 이동함.-초여과 과정에서 혈액 내에서 체액과 함께 일부 용질이 제거되며, 동시에 체액과 전해질을 보충하기 위해 보충액 투여됨.-보충액은 Pre Di..

공부 요약 2025.03.09

CRRT 기본 - 1편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의 이해1. CRRT란?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는 급성 신부전(AKI, Acute Kidney Injury) 환자에서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고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신대체 요법이다. 혈액투석(HD)과 달리, 24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시행되므로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에게 적합하다. CRRT 적응증 구분                                                                    세부 기준급성 신부전 (AKI)- 소변량 감소 (Oliguria: - 심한 요독증 (BUN >100 mg/dL, ..

공부 요약 2025.03.08

뇌경색 환자의 지속적인 고혈압의 원인과 병태생리

뇌경색(ischemic stroke) 환자의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이유는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기전이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뇌 혈류 자가조절 장애, 신경계 및 자율신경계 불균형, 내분비계 활성화, 치료적 혈압 유지 전략 등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1. 뇌 혈류 자가조절 장애 (Cerebral Autoregulation Impairment)정상적인 상태에서 뇌혈관은 자가조절(autoregulation) 기전을 통해 평균 동맥압(MAP, mean arterial pressure)이 50–150 mmHg 범위 내에서 일정한 혈류(cerebral blood flow, CBF) 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뇌경색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1) 허혈 부위의 혈류 감소˙  뇌경색 발생 후 허혈성 손..

공부 요약 2025.03.04

간병인 보험의 필요성과 문제

간병인 보험의 필요성과 문제점우리 사회가 빠르게 고령화되면서 간병인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간병에는 상당한 비용이 들고, 이를 감당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죠. 이런 상황에서 등장한 것이 간병인 보험입니다. 간병이 필요한 상황에서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지만, 실질적인 문제점도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병인 보험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한계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간병인 보험이 필요한 이유1. 간병 비용 부담 완화간병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단순히 치료비뿐만 아니라 간병비까지 추가로 부담해야 합니다. 병원에서 간병인을 고용할 경우 하루 10~15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며, 한 달이면 수백만 원이 필요합니다. 장기적으로 간병이 필요할 경우, 가족에게 큰 경제적 ..

공부 요약 2025.03.01

전신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요로감염)

간호진단 전신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NANDA 정의: 체온이 정상 범위 이상으로 상승한 상태를 말함.간호사정주관적자료1."몸이 너무 뜨겁고 땀이 많이 나요.“2."온몸이 으슬으슬 춥고 떨려요.“3."머리가 띵하고 아파요.“4."근육이 쑤시고 힘이 없어요.“5."몸이 화끈거리고 지치네요."객관적자료1)Dx : Urinary tract infection2)Phx : 요양병원에 계신던분으로 2/14일부터 발열,오한 지속되어 ER타고 ICU Adm 함.3)V/S : 100/60mmHg – 102회/분 – 38.4도 – 24회/분4)피부 홍조 보이며, 양 손발이 차가운 상태임.5)피부 건조로 인해 각질 관찰됨.6)발한 및 떨림 있어 해열제 투여 중임.7)1일 2-3회 오심 및 구토 있어 배식된 음식 1/3 이상 ..

항경련제 비교: Valproic Acid vs Levetiracetam vs Carbamazepine vs Phenytoin

이 네 가지 항경련제는 모두 간질(epilepsy) 치료에 사용되지만, 각각의 작용 기전, 적응증, 대사 경로, 부작용, 약물 상호작용 등이 다르다.1. 기본 정보 비교성분명  Valproic Acid      Levetiracetam        Carbamazepine       Phenytoin  상품명Depakote, DepakinKeppraTegretolDilantin작용 기전GABA 증가, Na⁺ 채널 억제, T-type Ca²⁺ 억제SV2A 단백질과 결합하여 신경전달물질 방출 조절Na⁺ 채널 차단Na⁺ 채널 차단적응증부분+전신 발작, 소발작, 양극성 장애, 편두통 예방부분+전신 발작부분 발작, 삼차신경통, 양극성 장애부분 발작, 전신 강직-간대 발작, 상태 간질 (status epile..

공부 요약 2025.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