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척도 12

경조증 증상 척도 HCL-32 (Hypomania Checklist-32)

1.평소보다 더 활동적이었거나 에너지가 넘쳤다.( ) 예( ) 아니오2.평소보다 더 말이 많았고, 말을 멈추기 어려웠다.( ) 예( ) 아니오3.평소보다 더 사교적이었고, 사람들을 자주 만나고 싶었다.( ) 예( ) 아니오4.평소보다 더 자신감이 넘쳤다.( ) 예( ) 아니오5.평소보다 덜 잠을 자도 피곤하지 않았다.( ) 예( ) 아니오6.생각이 너무 빠르게 지나가고, 아이디어가 넘쳐 흘렀다.( ) 예( ) 아니오7.평소보다 더 창의적이었다.( ) 예( ) 아니오8.평소보다 더 성적으로 활발하거나 욕구가 강해졌다.( ) 예( ) 아니오9.평소보다 더 자극을 추구하고 위험한 행동을 했다.( ) 예( ) 아니오10.평소보다 더 충동적으로 돈을 썼다.( ) 예( ) 아니오11.평소보다 더 장난기가 많았고, ..

간호학 척도 2025.07.18

한국판 Beck 우울척도 (K - BDI)

1(0)나는 슬픔을 느끼지 않는다.(1)나는 슬픔을 느낀다.(2)나는 항상 슬픔을 느끼고 그것을 떨쳐버릴수 없다.(3)나는 너무나도 슬프고 불행해서 도저히 견딜 수가 없다.2(0)나는 앞날에 대해 별로 걱정하지 않는다.(1)나는 앞날에 대해 별로 기대할 것이 없다고 느낀다.(2)나는 앞날에 대해 기대할 것이 하나도 없다고 느낀다.(3)나는 앞날이 암담하고 전혀 희망이 없다고 느낀다.3(0)나는 실패감 갚은 것을 느끼지 않는다.(1)나는 앞날에 대해 별로 기대할 것이 없다고 느낀다.(2)나는 앞날에 대해 기대할 것이 하나도 없다고 느낀다.(3)나는 한 인간으로서 완전히 실패했다고 느낀다.4(0)나는 전과 다름 없이 일상생활에 만족하고 있다.(1)나는 일상생활은 예전처럼 즐겁지 않다.(2)나는 무엇을 해도 ..

간호학 척도 2025.07.13

Berg balance scale (BBS), 균형 척도

Berg balance scale (BBS)앉은 상태에서 서기서기 위해서는 중증도 도움 (50%) 또는 최대 도움 (75%)이 필요하다.0서거나 안정화되기 위해서 최소(25%)의 도움이 필요하다. 1여러 번 시도 후 양손을 사용하여 일어설 수 있다. 2손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일어설 수 있다.3손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일어서고 안정화할 수 있다.4 2. 도움없이 서 있기도움 없이는 30초간 서 있을 수 없다.0의지하지 않고 30초간 서 있기 위해 여러 번의 시도가 필요하다.1의지하지 않고 30초간 서 있을 수 있다.2감독 하에 2분 동안 서 있을 수 있다. 3안전하게 2분 동안 서 있을 수 있다.43. 기대지 않고 스스로 앉기10초간 지지 없이 앉아 있을 수 없다.010초간 앉아 있을 수 있다.13..

간호학 척도 2025.06.04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Global Deterioration Acale (GDS)1인지장애 없음일상적으로 정상. 주관적으로 기억장애를 호소하지 않음. 임상 면담에서도 기억장애가 나타나지 않음2매우 경미한 인지장애건망증의 시기. 주관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억장애를 주로 호소함(1) 물건을 둔 곳을 잊음(2) 전부터 잘 알고 있던 사람 이름 또는 물건이름이 생각나지 않음. 임상면담에서 기억장애의 객관적인 증거는 없음. 직장이나 사회생활에 문제없음. 이러한 자신의 증상에 적절한 관심을 보임3경미한 인지장애분명한 장애를 보이는 가장 초기 단계. 그러나 숙련된 임상가의 자세한 면담에 의해서만 객관적인 기억장애가 드러남. 새로이 소개 받은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음. 책을 읽어도 예전에 비하여 기억하는 내용이 적을 수 있음. ..

간호학 척도 2025.06.04

MMSE-K (한국형 치매검사)

MMSE-K항목점수지남력(10점)시간년0 1월 0 1 일 0 1 요일 0 1 계절 0 1 주소시(도) 0 1 구(군) 0 1 동(면) 0 1 동/호(리) 0 1 장소병원 0 1 기억등록 (3점)모자 0 1 연필 0 1 자동차 0 1 주의집중 및 계살 (5점)100 -7 0 1 -7 0 1 -7 0 1 -7 0 1 -7 0 1 기억회상 (3점)모자 0 1 연필 0 1 자동차 0 1 언어기능(7점)이름대기볼펜 0 1 시계 0 1 명령시행오른손으로 종이를 잡고..

간호학 척도 2025.06.04

Braden scale 욕창 사정 도구

분류항목점수감각 인지 불편을 주는 압력에 대해 의미 있게 반응하는 능력전혀 없음(의식저하/진정제로 인한 통증자극에 전혀 없음. 신체 대부분 감각저하)1매우 제한됨(통증자극에만 신음/안절부절하는 것으로 반응함. 신체의 1/2이상 감각저하)2약간 제한됨(구두로 요구를 표한하거나 불편감을 느낄 때마다 하지는 않음. 한 두 개의 사지 감각저하)3장애 없음(구두로 요구를 표현. 감각기능 장애가 전혀 없음)4 습한 정도(피부에 노출되어 있는 정도)지속적으로 습함(땀/소변 등으로 피부가 계속 습함. 돌리거나 움직일 때마다 축축함.)1습함(항상은 아니지만 자주 습함. 적어도 8시간마다 린넨 교환) 2때때로 습함(하루 한번 정도 린넨 교환) 3거의 습하지 않음(습하지 않음. 정해진 간격으로 린넨 교환) 4 활동정도 (신..

간호학 척도 2025.06.04

GAD-7 불안 측정 도구

지난 2주 동안 다음의 문제들로 인해서 얼마나 자주 방해를 받았습니까?전혀 방해받지 않았다.몇일 동안 방해받았다.2주 중 절반 이상 방해받았다.거의 매일 방해받았다.초조하거나 불안하거나 조마조마하게 느낀다.0123걱정하는 것을 멈추거나 조절할 수가 없다.0123편하게 있기가 어렵다.0123너무 안절부절 못해서 가만히 있기가 힘들다.0123쉽게 짜증이 나거나 쉽게 성을 낸다.0123마치 끔찍한 일이 생길 것처럼 두렵게 느껴진다.0123총점 점수 해석0 – 4점 : 불안 아님5점이상 : 불안 시사됨

간호학 척도 2025.05.16

Beck 불안척도

Beck의 불안척도문항전혀 안느낌조금 느낌상당히 느낌심하게 느낌1나는 가끔씩 몸이 저리고 쑤시며 감각이 마비된 느낌을 받는다.0 1232나는 흥분된 느낌을 받는다. 01233나는 가끔씩 다리가 떨리곤 한다.0 1234나는 편안하게 살 수가 없다.012 35매우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01 236나는 가끔씩 심장이 두근거리고 빨리 뛴다.0 1237나는 침착하지 못하다.01 238나는 자주 겁을 먹고 무서움을 느낀다.0 1239나는 신경이 과민되어 있다.012 310나는 가끔씩 숨이 막히고 질식할 것 같다. 012311나는 자주 손이 떨린다.0 12312나는 안절부절 못해한다.01 2313나는 미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0 12314나는 가끔씩 숨쉬기가 곤란할 때가 있다.0 12315..

간호학 척도 2025.05.04

낙상위험성 평가도구 (Morse Fall Scale)

구분척도점수과거낙상경험있음25없음0이차 진단(부진단)있음15없음0보행보조기구를 잡고 보행함30목발/지팡이/보행기 사용함15보조기 사용하지 않음/침상안정/휠체어/간호사가 도움0 정맥수액요법있음20없음0걸음걸이/이동장애가 있음20허약함10정상/침상안정/부종0 의식/정신상태자신의 기능 수준을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15 자신의 기능 수준에 대해 잘 알고 있음0총점500 - 24점 : 낙상 위험성이 거의 없음(No risk)25 - 50점 : 낙상 위험성이 낮음(Low risk)51 - 125점 : 낙상 위험성이 높음(High risk)

간호학 척도 2025.05.02

욕창위험도 평가도구(Braden scale)

구분척도내용점수감각인지1. 전혀 없음통증자극에 반응 없음, 전신 감각 제한 2. 매우 제한됨통증자극에만 반응, 전신1/2의 감각 제한 3. 약간 제한됨자극에 반응하나 항상 불편감을 말하지 못함, 1개 또는 2개의 사지 감각 제한 4. 장애 없음지시에 따름, 불편감, 통증을 호소하며 감각 제한 없음 기동력전혀 없음도움 없이 체위나 사지의 위치변경이 불가능 2. 매우 제한됨도움 없이 체위나 사지의 위치변경이 어렵거나 가끔 약간의 체위변경과 움직임 가능 3. 약간 제한됨스스로 모든 자세변경이 가능하나 원활하지 못함 4. 정상스스로 모든 자세변경이 가능 습한정도1. 지속적으로 습함땀,대소변에 항상 피부가 젖어 있음 2. 습함자주 젖어있고 린넨 교환(근무당 1회) 3. 때때로 습함가끔 젖어있고 린넨 교환(1일 1..

간호학 척도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