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간호계획이론적근거진단적대상자의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불안은 교감신경계 활성화를 유발하여 심박수, 혈압, 호흡수의 증가로 이어진다. 활력징후를 정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불안의 생리적 반응을 객관적으로 사정할 수 있으며, 상태의 악화를 조기에 인지할 수 있다. 진단적경피적 동맥혈 산소포화도(SPO2)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불안 시 과호흡이나 얕은 호흡으로 인해 산소포화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SPO2 모니터링을 통해 호흡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산소공급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진단적 대상자의 비언어적, 언어적 표현 및 전반적 증상을 관찰하여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불안은 주관적인 감정이지만 언어적 표현(초조, 불안 호소)과 비언어적 행동(과다한 움직임, 손 떨림, 안절부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