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요약

일시적 심박동기(Temporary pacemaker)

insurance & nursing 2025. 4. 10. 21:17

Temporary pacemaker는 심장 전도계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부정맥에 대해 일시적으로 심장의 전기 자극을 인위적으로 제공하여 심박수를 유지하고 심박출량을 안정시키는 기계임.

 

이는 심장의 자율적 발동이 어려울 때 또는 영구 심박동기 삽입 전까지의 중간 조치로 활용됨.

single chamber TPM

적응증(Indication)

1.심각한 서맥 (HR < 40회/분, 의식저하, 저혈압 동반 시)

2.3도 방실차단(Complete AV block)

3.동기능 부전 증후군(Sick sinus syndrome)

4.심근경색 후 발생한 전도장애(특히 하벽 MI 에서 AV block 동반 시)

5.약물 중독 (디곡신, 베타블로커, 칼슘채널차단제 과다복용)

6.심장 수술 후 일시적 전도 장애

7.전기생리학적 검사 중 유도된 심정지 위험 상태

종류 설명 장점 단점
Transcutaneous pacing  피부 위에 부착한 패드를 통해 전기 자극 전달 빠르고 비침습적 통증 유발, 지속적 사용 불가
Transvenous pacing  중심정맥을 통해 심내막까지 Pacing lead 삽입 안정적,ICU 사용 감염, 혈관손상위험
Epicardial pacing 개심 수술 시 전극을 심외막에 부착 수술 후 심장 모니터링 용이 수술 환자에만 적용

 

Temporary pacemaker 설정 구성 요소

1.모드 설정(Mode setting)

· VVI : 심실 감시 및 자극

· DDD : 심방 및 심실 모두 자극/감시 가능

2.Rate (박동수 설정) : 보통 60 ~ 80bpm

3.Output(mA) : 최소한의 자극 전류로 캡처되는 값으로 설정

4.Sensitivity(mV) : 자극 감지 민감도, 너무 낮으면 oversensing, 너무 높으면 undersensing 가능.

Temporary Pacemaker mode 기본 개념

페이스메이커 모드는 보통 세자리 알파벳으로 표현됨.

자리 의미 설명
1번째 자리 자극하는 심장 부위 A(심방), V(심실), D(심방+심실), O(없음)
2번째 자리 감지하는 부위 A(심방), V(심실), D(심방+심실), O(없음)
3번째 자리 반응 방식 I(억제), T(유발), D(둘 다), O(없음)

 

주요 모드 예시와 설명

1. VVI 모드 (가장 흔한 temporary setting)

V : 심실에 자극 (Pacing)

V : 심실에서 감지 (Sensing)

I : 심실에서 자체 리듬을 감지하면 자극 억제 (Inhibit)

 

의미

환자 심실의 자연 박동이 없으면 pacing을 하고,
자연 박동이 감지되면 자극을 억제함.

 

2. AOO 모드 (Asynchronous Atrial pacing)

A : 심방에 자극

O : 감지 기능 없음

O : 반응 없음

 

의미
무조건 일정한 속도로 심방을 자극함. sensing 기능이 없음.

적용 상황

심방 리듬이 완전히 없는 환자

다른 자극 간섭이 없는 상황

 

3. VOO 모드 (Asynchronous Ventricular pacing)

V : 심실 자극

O : 감지 없음

O : 억제 없음

 

의미
감지하지 않고 정해진 속도로 심실에 계속 자극을 줌

 

적용 상황

심정지 환자에서 외부 pacing 시도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회피 목적

 

4. DDD 모드 (Dual chamber sensing/pacing)

D : 심방 + 심실 자극

D : 심방 + 심실 감지

D : 감지된 자극에 따라 억제 또는 유발

 

의미
심방/심실 모두 pacing 가능하고, 자연 리듬에 반응함
(심방 박동 감지 후 심실 자극 유도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