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계획이론적 근거진단적1.활력징후(혈압, 맥박, 체온)를 4시간마다 측정하여 체액 부족의 징후를 조기에 확인한다.탈수가 진행되면 순환 혈액량 감소로 인해 저혈압과 반사적 빈맥이 나타나며, 이는 조기 체액 부족의 임상적 징후이다.진단적2.대상자의 설사 횟수, 양상 대변 색깔을 매일 사정한다.설사 횟수 및 성상은 수분 손실의 직접적인 지표이며, 혈변이나 점액 변은 궤양성 대장염의 활성도를 반영한다. 지속적인 수양성 설사는 탈수를 유발하고 체액불균형 위험을 증가시킨다.진단적3.피부 긴장도, 점막 상태, 눈 함몰 여부 등 탈수 징후를 매 근무 시마다 관찰한다.피부 긴장도 저하, 점막 건조, 눈 함몰은 탈수 시 흔히 나타나는 신체적 징후이며, 특히 체액부족이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되었을 때 나타난다.진단적4.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