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

기도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Adenovirus)

insurance & nursing 2025. 7. 12. 22:4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1. “아이가 숨 쉴 때 쌕쌕거려요.”
2. “콧물이 많아서 잠을 잘 못 자요.”
3. “기침할 때 힘들어 보여요.”
객관적 자료 1.Dx : Adenovirus infection, unspecified site
2.C.C : Fever, cough, sputum, vomiting, loose stool
3.History : 4일전부터 C.C 있어 opd 통해 adm 함.
4.RR : 28 ~ 32회/분으로 빈호흡 관찰됨.
5.호흡 시 흉곽 근육 사용 증가로 늑간부가 안쪽으로 끌려들어가는 모습 보임.
6.기도 내 분비물로 인해 흡기 및 호기 시 비정상적 호흡음 들림. (의무기록)
7.기침 시 끈적하고 점액성의 가래 배출됨.
8.Spo2 92 ~ 94%로 인해 Nebulizer TID 적용하고 있는 대상자임.
9.후두 주변 염증으로 인한 쉰 목소리 들림.
10.들숨 시 콧구멍이 퍼지는 모습 관찰됨.
간호진단 기도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 호흡의 흡기 및/또는 호기 양상이 개인의 대사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비효율적인 상태.
간호목표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효과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하며, 정상 범위의 호흡수(RR: 20~25회/분)를 보인다.
2.대상자는 간호 기간 동안 기도 분비물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산소포화도(SpO₂)가 95% 이상 유지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일 이내 호흡수가 안정되어 RR이 28회/분 이하로 감소한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 점액성 기침 후 분비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3. 보호자는 2일 이내 아동의 호흡기 증상 완화와 관련된 간호중재(체위 변경, 수분 섭취, 네불라이저 사용 등)를 설명할 수 있다.
4. 대상자는 3일 이내 비정상적인 호흡음(거품음, 습한음 등)이 감소하거나 사라진다.
5. 대상자는 5일 이내 수면 시 호흡곤란이 감소되어, 수면 중 각성 횟수가 줄어든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진단적 1. 대상자의 호흡수, 호흡양상(RR, 노력호흡 여부)을 4시간마다 사정한다. 대상자의 호흡수를 측정하고, 호흡 시 흉곽의 움직임, 비익호흡, 늑간함몰 등의 노력호흡 여부를 관찰하였다.
초기 호흡수는 30회/분으로 빈호흡 상태였으며, 2일 후 26회/분으로 감소하였다.
소아의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은 호흡근 사용 증가로 보상되며, RR은 기도 저항 증가 여부를 반영하는 주요 지표이다.
진단적 2. 산소포화도(SpO₂)를 4시간마다 모니터링하고, 92% 이하로 떨어질 경우 즉시 보고한다. 입원 초기 SpO₂는 92~93%였으나, nebulizer 치료 2일 후 95%로 상승하여 안정적인 상태 유지하고 있다. SpO₂는 조직 산소화 상태를 나타내며, 92% 이하일 경우 저산소증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조기 개입이 필요하다.
진단적 3. 기침 시 분비물의 양상, 색, 점도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기침 시 분비되는 객담의 색, 점도, 양을 관찰하고 간호기록을 남겼다.
입원 3일차부터 점액성 분비물이 맑아지고 양이 감소하였으며, 보호자도 기침이 덜해졌다고 말했다.
기도 분비물의 성상은 감염 상태와 염증의 진행 정도를 반영하므로, 호흡기 감염 회복 과정의 중요한 평가 지표이다.
진단적 4. 수면 시 호흡곤란 및 각성 여부를 보호자에게 확인하고 기록한다. 초기에는 수면 중 2~3시간 간격으로 자주 깼으나, 4일 후 빈도가 줄고 평균 6~8시간 연속 수면 가능해졌다. 호흡곤란은 수면을 방해하여 회복을 지연시키므로, 수면 질 개선은 전반적인 호흡 안정성과 면역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
진단적 5. 처방에 따라 Nebulizer 치료를 하루 3회(TID) 적용하고, 적용 전·후 호흡상태를 사정한다. 처방된 약물(Salbutamol)로 nebulizer 치료를 TID 적용하였고, 치료 전·후에 호흡수, 호흡음, SpO₂ 등을 사정하였다.
치료 3일 후 호흡수는 26회/분으로 감소하고, 흉곽 함몰이 호전되었으며 Spo2는 95%까지 상승함.
Nebulizer 치료는 기도 내 약물 분무를 통해 기도 확장, 분비물 배출 촉진 효과가 있어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개선에 효과적이다.
치료적 6. 처방된 진해거담제, 기관지 확장제 등을 정확한 시간에 투약한다. 약물 확인 요망.
약물 투여 이후 기침 시 객담 배출이 원활해졌고, 보호자도 "기침이 전보다 덜 힘들어 보인다"라고 말했다.
진해거담제는 점액 분비를 얇게 만들어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기관지 확장제는 기도 저항을 줄여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한다
치료적 7. 아동의 상체를 30~45도 세워 앉히거나 반좌위로 체위를 변경하여 폐 팽창을 돕는다. 호흡곤란 호소 시 상체를 45도 세운 자세로 유지하였고, 수면 시에도 반좌위 체위를 적용하였다. 상체를 세운 자세는 횡격막의 하강을 유도하고 폐의 확장 면적을 증가시켜 환기 효율을 높인다.
치료적 8. 충분한 수분 섭취를 유도하여 기도 분비물의 점도를 낮추고 배출을 촉진한다. 보호자에게 따뜻한 물, 수분보충 음료 등을 소량씩 자주 제공하게 하여 총 섭취량을 증가시켰다.
수분 섭취량이 증가하였고, 객담 점도가 이전보다 묽어지며 배출이 쉬워졌다.
수분 섭취는 기도 내 점액을 묽게 하여 거담 효과를 높이고, 체온 상승으로 인한 수분 손실도 보완한다.
치료적 9. 필요시 suction(흡인기)를 사용하여 기도 분비물을 제거한다. 기침 후 가래를 스스로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 처방에 따라 구강 내 suction을 시행하여 점액을 제거하도록 했다.
다량의 thick 한 객담이 배출되었으며, 흡인 후비정상 호흡음이 감소하고 호흡이 매끄럽게 유지되었다.
기도 폐쇄를 일으키는 분비물은 저산소증과 무기폐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흡인을 통해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효과적인 중재이다.
교육적 10. 보호자에게 아동의 수분 섭취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섭취 방법(소량씩 자주 제공 등)을 설명한다. 보호자에게 고열과 기침으로 인한 탈수 위험을 설명하고, 물·전해질 음료를 소량씩 자주 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교육하였다. 수분은 기도 점액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전신 대사를 촉진하여 회복에 기여한다. 보호자 교육은 아동의 자가간호 촉진에 필수적이다.
교육적 11. 보호자에게 Nebulizer 사용 목적, 적용 시간, 사용 후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이해 여부를 확인한다. Nebulizer의 약물 작용 원리(기도 확장), 사용 시간(TID), 사용 전후 아동의 반응 관찰법, 세척 방법 등을 설명한 후 이해 여부를 구두로 확인하였다
보호자가 약물 작용 및 적용 시간에 대해 정확히 설명할 수 있었으며, 네불라이저 기기를 직접 작동하고 세척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Nebulizer는 기도 저항을 완화하는 직접적인 호흡 치료로, 올바른 사용법과 관리 교육은 치료 효과를 극대화한다.
교육적 12. 보호자에게 호흡곤란 악화 시 증상(빠른 호흡, 청색증 등)과 즉각적 대처법을 교육한다. 호흡기 증상 악화의 징후(빠른 호흡, 청색증, 늑간 함몰 등)를 시각 자료와 함께 설명하고, 응급 상황 시 병원 방문 기준을 교육하였다. 보호자는 아동의 호흡 상태 변화의 첫 관찰자이므로, 조기 인식과 대응 교육은 위기 상황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하는 핵심 전략이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퇴원 전 호흡수는 26회/분으로 다소 높았지만, 노력호흡 및 비익호흡은 소실되고, 전반적인 호흡양상은 호전되었음. (부분적 달성)


2.SpO₂는 3일차부터 95~96%로 유지되었고, 객담 배출도 원활하며 호흡음이 점차 깨끗해짐. (달성)
단기목표 1.이틀 후 호흡수가 26회/분으로 감소함. (달성)


2.보호자와 관찰 결과, 기침 시 묽은 객담 배출이 잘 이루어짐. (달성)


3.보호자가 중재 내용을 정확히 반복 설명할 수 있었으며, 실제로 적용함. (달성)


4.의무기록 상 습한음은 사라졌으나, 호기 시 미세한 거품음이 남아 있었음. (부분적 달성)


5.보호자에 따르면, 수면 중 각성 없이 5시간 이상 연속 수면 가능해짐. (달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