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

대사성 산증 시 혈압이 낮아지는 이유

insurance & nursing 2025. 4. 2. 22:36

신체가 산증(Acidosis) 상태일 때 혈압이 낮아지고, 혈관이 확장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생리적 기전 때문이다.

1. 혈관 확장(Vasodilation)의 기전

산증이 발생하면 혈액의 pH가 감소하면서 여러 생리적 반응이 유발된다.

1)직접적인 혈관 평활근 이완

· 산증에서는 H⁺(수소이온)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는 혈관 평활근 세포 내의 칼슘 채널(Ca²⁺ channel) 억제를 유도한다.

· 칼슘 채널이 억제되면 세포 내 칼슘 농도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혈관 평활근이 이완되어 혈관이 확장(Vasodilation) 된다.

2)이산화탄소(CO₂) 증가와 NO(일산화질소) 분비

· 산증(특히 대사성 산증)에서는 이산화탄소(CO₂)의 농도가 증가하며, 이는 내피세포에서 일산화질소(NO) 분비를 증가시킨다.

· 일산화질소(NO)는 강력한 혈관 확장 물질로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킨다.

 

3)ATP-민감성 칼륨 채널(K⁺ATP Channel) 활성화

· 산증 상태에서는 ATP가 고갈되면서 혈관 평활근 세포의 ATP-민감성 칼륨 채널(K⁺ATP channel)이 활성화된다.

· 칼륨이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세포막이 과분극되어, 혈관 평활근의 수축력이 감소하고 혈관이 확장된다.

2. 혈압 감소(Hypotension)의 기전

혈압은 심박출량(Cardiac Output)과 전신 혈관 저항(Systemic Vascular Resistance, SVR) 에 의해 결정된다. 산증에서는 혈압이 떨어지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전신 혈관 저항(SVR) 감소

· 혈관이 확장되면서 전신 혈관 저항이 감소하여 혈압이 떨어진다.

· 혈관 저항이 낮아지면, 심장이 같은 양의 혈액을 펌프질하더라도 혈압이 낮게 유지된다.

2) 심근 수축력 감소(Negative Inotropic Effect)

· 산증이 심해지면 심장 근육의 칼슘 이용이 감소하여 심근 수축력이 저하된다.

· 중증 산증에서는 교감신경계 반응이 억제되면서 심박출량(CO)이 감소하여 혈압이 더욱 저하된다.

3) 순환 혈액량 감소

· 심한 대사성 산증(예: 당뇨병성 케톤산증, DKA)에서는 탈수가 동반되며, 혈액량 감소로 인해 혈압이 더욱 떨어진다.

· 산증이 진행되면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혈액 내 수분이 조직으로 빠져나가면서 혈압이 더욱 감소한다.

반응형